본문 바로가기

행복해지는 STORY436

(초가집 농부의 아들에서 글로벌 청년으로) (초가집 농부의 아들에서 글로벌 청년으로) 우리는 늘 앞만 보고 달려 가다가 지치면 하늘을 봅니다.그런데 잠깐 멈춰서서 반대로 달려왔던 길을 뒤돌아 보면 달라져 있는게참으로 많습니다. 사실 우리는 어찌됐든 간에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참 많이 달라져 있습니다.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것 처럼 느껴질 때는 사실 남들과 비교함으로 써 오는상대적 열등감 때문 임이 대부분 일 것입니다. 사실 우리는 삶 속에서 계속 비교하며 경쟁하고 우열을 가리려 노력하지만진정 비교의 대상은 남이 아니라,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내가 어떻게 다른가에 핵심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한민국 충남 서천군 신산리 초가 집에서 태어난 제가 미국에서 삶 만을 놓고견주어 본다면 과거의 나와 오늘의 나는 수 없는 발전이라 위안이 됩니다. 우리가.. 2012. 9. 9.
Wheaton College Wheaton College 의 Robert Webber 교수는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컷지 말라•는 제 3계명을 하나님 이름으로 맹새 금지의 단순한 의미로 해석 하는것을 주의했습니다. 그는 그 의미를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것 처럼 살지말라•해석해야 한다 고 했습니다. Since 2012 summer, 휫튼대학에서..Wheaton College in Chicago. 2012. 7. 12.
육체적 노동에 대하여 (육체 노동에 대하여) 대천덕 신부님의 자서전을 요 며칠 사이 읽었습니다. 육체적 노동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분명 많은 깨달음을 주실 것을 신뢰하여,다니던 신학교를 중단하고 철강 노동자로, 또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 노동자로 몇년을 보냈던 대목이 너무나 놀라웠습니다 몇해전 그가 평생을 거쳐 이뤄낸 예수원을 다녀온 기억이 있습니다. 입구 큰 돌에 새겨진 "노동이 기도요 기도가 노동이다" 라는 문구가 참 인상 깊었습니다.대천덕 신부님이 평소에 얼마나 노동을 가치있고 중요하게 생각하셨는지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요 며칠 삶을 돌아보면서 내 삶에 있어서 노동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습니다. 과연 노동, 쉽게 말해, 일하는 것을 통해 하나님께서 무엇을 내게 가르 치고 싶으신걸까. 저는 다른 사람보다 서른이 넘는 동안 .. 2012. 5. 29.
"관계는 힘이다" (관계는 힘이다?) 위의 제목만 보면 어감이 이상하지만 어딜가나 관계를 잘 하는 사람이 영향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지난 20대때나 현재 까지도 관계(Relationship) 라는 화두는 늘 삶의 집중된 영역입니다. 사람들과의 관계, 하나님과의 관계.. 얼마전 참 좋아했던 한국영화 "멋진하루"를 다시 보았습니다.하정우의 능청스런 연기는 언제보아도 일품입니다.주된 내용은,갑자기 찿아온 옛 애인 주인공 희수(전도연)에게빌린돈 350만원을 다시 값기 위해 하루를 보내는 내용입니다.미묘한 감정이 공존하는 잔잔하고 참 좋은 영화 입니다. 저는 다시 보는 내내 극중 병운(하정우)라는 인물이 사람들에게 인정받는관계의 매력은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해 보았습니다.극중 케릭터는 말을 참 뻔지르 하게 잘하고 능청스럽지만결국은 .. 2012. 4. 27.
"골방에 들어가는 것" (골방에 들어가는 것에 대하여)제가 존경하는 미국의 복음주의자 목사님 폴 워셔(Paul Waher)는 목사로 부르심을 받았다고 생각할 때그의 맨토 목사님 께서 이렇게 물으셨다고 합니다. "혼자 있을 수 있겠니?" 처음에 그는 이 물음의 의미를 사역은 외로운 건데 견딜 수 있겠느냐의 물음으로 이해했다고 합니다.하지만 결국 그 물음의 참된 의미는 모두들 교제의 기쁨으로 들떠있고, 수련회도 어울려 가고 떠들석한 신앙의 환경안에서도골방, 벽장, 조용히 서재로 들어가 하나님을 대면할 수 있겠냐는 물음이었답니다. 토마스 아캠피스(Thomas A Kempis) 는 " 그리스도를 본받아" 에서 세상으로 부터 오는 소음을멀리하고 사람들과의 교제에서 오는 안정감을 피하고 골방으로 들어가하나님과 홀로 있으라고 권면합니다. .. 2012. 4. 16.
"상대적 가난에 대하여" (상대적 가난에 대하여)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지 않고 생각을 뚜렷히 정리하지 않은 글 을 쓴다는 것은 많은 헛점을 드러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아하는 목사님 중 한분인 김동호 목사님의 글을 읽고 가난에 대하여 몇자 적어보려 합니다. 누가 저의 어릴 적 가정 환경이 어땠느냐 물었을때 당연히 가난했다라고 늘 습관처럼대답했습니다.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경제적 부담이 저의 가정에 찾아왔기 때문입니다. 하지만,정말 가난한 나라 아프칸, 인도 빈민가, 등등 을 볼 수 있는 기회를 통해서 몇가지 깨닭았습니다. 그것은 내가 느꼈던 우리나라에서 가난은 상대적 가난이었다는걸 알게 된거죠. 적어도 저는 밥을 굶지도, 신발이 없어서 학교에 못가지도, 겨울에 꽁꽁 얼어붙은 바닦에서 잠을 자지는 않았으니까요. 이곳 미국.. 2012. 2. 7.
"나는 어느 순간을 기다리며 사는 가" 나는 어느 순간을 기다리며 사는가) 어거스틴(Augustin)은 인생에 대하여"우리는 단지 현재(Present) 로써 밖에 우리의 인생을 경험하지 못한다"고 했습니다.결국엔 우리 삶 안에 경험되어지는 모든것은 단지 현재 입니다.우리의 삶이 시간이란 존재안에 제한 되어져 있기 때문입니다.그토록 행복했던 순간도, 아팠던 때 도, 모두 뒤돌아 보는 과거(Past)로써 우리의 기억속에 존재(Existence)합니다.우리는 더 나은 미래를 그토록 원하며 노력하고 고대하고 살지만,결국 그 순간도 지나갈 현재로 찾아올 우리의 제한적 인생입니다. 하나님은 그 시간과 공간을 태초에 창초하신 영원(Eternity) 하신 분이십니다.즉, 시간이라는 개념 밖에 존재하시는 유일한 분이십니다.따라서 하나님에게는 우리가 인지하는 .. 2012. 2. 4.
"관점의 전환에 대하여" 관점의 전환에 대하여) "Columbus never discovered the America continent rather we saw them came to us by the ship." 인디언 속담중 하나입니다.콜럼버스가 미대륙을 발견했다고 역사적으로 그를 기억하고 기념합니다.하지만 원래 그땅에서 뿌리 내리고 있던 인디언 들에게콜럼버스는 그저 배를 타고온 노랑머리 침략자에 불과 했습니다. 제작년 아리조나에 가 인디언 마을에서 선교를 할 때, 얼마나 많은 희생과 투쟁이굴러들어온 개척자 들과 인디언들(Native American)사이에 있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비옥한 땅과 그들의 터를 뺏겨 쫒겨 쫒겨 결국 세상과 멀리 떨어지게 됩니다.그래서 그들은 결국 높은 기슭에 터를 잡고지금까지도 세상과 단절하고 .. 2012. 1. 10.
"최선을 다하는 것" (최선의 노력에 대하여) 어제 두번째 결혼기념일을 미국에서 맞이해 보냈습니다. 결혼후 곧바로 미국에 왔기 때문에 새 가정을 맺고 2년 이란 시간을 이곳에서 보내고 있습니다.그 2년의 생활을 가만히 뒤돌아 보면서 문득 두가지 질문이 떠 올랐습니다. 나 자신에게 최선을 다해 노력하였는가, 또한 아내에게 최선을 다해 노력하였는가, 였습니다.안타깝게도 그 질문에 자신있게 "그렇다" 라고 스스로에게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그 이유는 최선이란 말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태백산맥]의 저자 조정래 작가가 말하길,"최선을 다했다는 말을 함부로 쓰지 마라. 최선이란 자기의 노력이 스스로를 감동 시킬 수 있을 때 비로소 쓸 수 있는 말이다"라고 했습니다. 스스로를 감동시킬 수 있는 노력이 있었던 .. 2011. 12. 14.